맨위로가기

UEFA 유로 1968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EFA 유로 1968 예선은 31개 팀이 8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치러졌으며, 이탈리아, 소련, 잉글랜드, 유고슬라비아가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UEFA 유로 1968 - UEFA 유로 1968 결승전
    UEFA 유로 1968 결승전은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렸으며, 이탈리아와 유고슬라비아가 맞붙어 1차전 무승부 후 재경기 끝에 이탈리아가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 UEFA 유로 1968 - UEFA 유로 1968 선수 명단
    UEFA 유로 1968 선수 명단은 1968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한 국가대표팀 선수들의 목록으로, 우승팀 이탈리아를 포함한 주요 참가국들의 선수 정보와 상세 정보가 제공된다.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 UEFA 유로 2000 예선
    UEFA 유로 2000 예선은 1998년 9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9개 조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2위 팀 중 승점이 가장 높은 팀과 플레이오프 승리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 UEFA 유로 1992 예선
    UEFA 유로 1992 예선은 33개국이 참가하여 7개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하는 유럽 지역 예선로, 독일 재통일과 유고슬라비아의 출전 금지라는 변수가 있었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UEFA 유로 1968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이름UEFA 유로 1968 예선
날짜1966년 9월 7일 ~ 1968년 5월 11일
참가 팀 수31
경기 수98
골 수306
최다 득점자야노시 파르카시
루이지 리바
(각각 6골)
이전 대회1964년
다음 대회1972년
범례

2. 조별 리그

아일랜드
튀르키예포르투갈
스웨덴
노르웨이그리스
오스트리아
핀란드서독
알바니아동독
네덜란드
덴마크루마니아
스위스
키프로스벨기에
폴란드
룩셈부르크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2개 이상의 팀이 조별 리그 경기 종료 후 승점에서 동률을 이루는 경우, 다음 순서대로 순위를 결정했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승점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다득점

# 추첨

2. 1. 1조

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1 스페인8632162
2 체코슬로바키아7631284
3 아일랜드5621358
4 튀르키예4612338



'''경기 결과'''

날짜
1966년 10월 23일아일랜드0 - 0스페인
1966년 11월 16일아일랜드2 - 1튀르키예
1966년 12월 7일스페인2 - 0아일랜드
1967년 2월 1일튀르키예0 - 0스페인
1967년 2월 22일튀르키예2 - 1아일랜드
1967년 5월 21일아일랜드0 - 2체코슬로바키아
1967년 5월 31일스페인2 - 0튀르키예
1967년 6월 18일체코슬로바키아3 - 0튀르키예
1967년 10월 1일체코슬로바키아1 - 0스페인
1967년 10월 22일스페인2 - 1체코슬로바키아
1967년 11월 15일튀르키예0 - 0체코슬로바키아
1967년 11월 22일체코슬로바키아1 - 2아일랜드



스페인이 3승 2무 1패, 승점 8점으로 8강에 진출했다.

2. 2. 2조

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1불가리아106420102
2포르투갈6622266
3스웨덴56213912
4노르웨이36114914



경기 결과
1966년 11월 13일불가리아 4 - 2 노르웨이
1966년 11월 13일포르투갈 1 - 2 스웨덴
1967년 6월 1일스웨덴 1 - 1 포르투갈
1967년 6월 8일노르웨이 1 - 2 포르투갈
1967년 6월 11일스웨덴 0 - 2 불가리아
1967년 6월 29일노르웨이 0 - 0 불가리아
1967년 9월 3일노르웨이 3 - 1 스웨덴
1967년 11월 5일스웨덴 5 - 2 노르웨이
1967년 11월 12일불가리아 3 - 0 스웨덴
1967년 11월 12일포르투갈 2 - 1 노르웨이
1967년 11월 26일불가리아 1 - 0 포르투갈
1967년 12월 17일포르투갈 0 - 0 불가리아



불가리아가 4승 2무, 승점 10점으로 8강에 진출했다.

2. 3. 3조

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1СССР|소련ru 소련106501166
2Ελλάδα|그리스el 그리스5521278
3Österreich|오스트리아de 오스트리아5521279
4Suomi|핀란드fi 핀란드26024512



경기 결과
1966년 10월 2일핀란드 0 - 0 오스트리아
1966년 10월 16일그리스 2 - 1 핀란드
1967년 5월 10일핀란드 1 - 1 그리스
1967년 6월 11일소련 4 - 3 오스트리아
1967년 7월 16일소련 4 - 0 그리스
1967년 8월 30일소련 2 - 0 핀란드
1967년 9월 6일핀란드 2 - 5 소련
1967년 9월 24일오스트리아 2 - 1 핀란드
1967년 10월 4일그리스 4 - 1 오스트리아
1967년 10월 15일오스트리아 1 - 0 소련
1967년 10월 31일그리스 0 - 1 소련
1967년 11월 5일오스트리아 1 - 1 그리스



1967년 11월 5일에 열린 오스트리아 대 그리스 경기는 1-1 동점 상황에서 86분에 관중 폭동이 발생하여 중단되었다. 이후 유럽 축구 연맹의 결정에 따라 무효 경기가 되었다.

소련이 5승 1패, 승점 10점으로 8강에 진출하였다.

2. 4. 4조

유고슬라비아가 3승 1패, 승점 6점으로 8강에 진출했다.

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1 유고슬라비아6430183
2 서독5421192
3 알바니아14013012



'''경기 결과'''

날짜팀 1결과팀 2
1967년 4월 4일 서독6 - 0 알바니아
1967년 5월 3일 유고슬라비아1 - 0 서독
1967년 5월 14일 알바니아0 - 2 유고슬라비아
1967년 10월 7일 서독3 - 1 유고슬라비아
1967년 11월 12일 유고슬라비아4 - 0 알바니아
1967년 12월 17일 알바니아0 - 0 서독


2. 5. 5조

승점경기수
헝가리96411155
동독763121010
네덜란드562131111
덴마크36114616



'''경기 결과'''

1966년
9월 7일 네덜란드 2 - 2 헝가리
9월 21일 헝가리 6 - 0 덴마크
11월 30일 네덜란드 2 - 0 덴마크
1967년
4월 5일 동독 4 - 3 네덜란드
5월 10일 헝가리 2 - 1 네덜란드
5월 24일 덴마크 0 - 2 헝가리
6월 4일 덴마크 1 - 1 동독
9월 13일 네덜란드 1 - 0 동독
9월 27일 헝가리 3 - 1 동독
10월 4일 덴마크 3 - 2 네덜란드
10월 11일 동독 3 - 2 덴마크
10월 29일 동독 1 - 0 헝가리



헝가리가 4승 1무 1패, 승점 9점으로 8강에 진출했다.

2. 6. 6조

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1 이탈리아116510173
2 루마니아663031814
3 스위스562131713
4 키프로스26105325



'''경기 결과'''

1966년
11월 2일루마니아 4 - 2 스위스
11월 26일이탈리아 3 - 1 루마니아
12월 3일키프로스 1 - 5 루마니아
1967년
3월 22일키프로스 0 - 2 이탈리아
4월 23일루마니아 7 - 0 키프로스
5월 24일스위스 7 - 1 루마니아
6월 25일루마니아 0 - 1 이탈리아
11월 1일이탈리아 5 - 0 키프로스
11월 8일스위스 5 - 0 키프로스
11월 18일스위스 2 - 2 이탈리아
12월 23일이탈리아 4 - 0 스위스
1968년
2월 17일키프로스 2 - 1 스위스


2. 7. 7조

프랑스는 4승 1무 1패, 승점 9점으로 8강에 진출하였다.

경기 결과
1966년 10월 2일폴란드 4 - 0 룩셈부르크
1966년 10월 22일프랑스 2 - 1 폴란드
1966년 11월 11일벨기에 2 - 1 프랑스
1966년 11월 26일룩셈부르크 0 - 3 프랑스
1967년 3월 19일룩셈부르크 0 - 5 벨기에
1967년 4월 16일룩셈부르크 0 - 0 폴란드
1967년 5월 21일폴란드 3 - 1 벨기에
1967년 9월 17일폴란드 1 - 4 프랑스
1967년 10월 8일벨기에 2 - 4 폴란드
1967년 10월 28일프랑스 1 - 1 벨기에
1967년 11월 22일벨기에 3 - 0 룩셈부르크
1967년 12월 23일프랑스 3 - 1 룩셈부르크


2. 8. 8조

8조는 영국에 속한 네 지방만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이 조가 1966-67 브리티시 홈 챔피언십과 1967-68 브리티시 홈 챔피언십을 겸하여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경기 결과'''

1966년 10월 22일웨일스1 - 1스코틀랜드
1966년 10월 22일북아일랜드0 - 2잉글랜드
1966년 11월 16일잉글랜드5 - 1웨일스
1966년 11월 16일스코틀랜드2 - 1북아일랜드
1967년 4월 12일북아일랜드0 - 0웨일스
1967년 4월 15일잉글랜드2 - 3스코틀랜드
1967년 10월 21일웨일스0 - 3잉글랜드
1967년 10월 21일북아일랜드1 - 0스코틀랜드
1967년 11월 22일잉글랜드2 - 0북아일랜드
1967년 11월 22일스코틀랜드3 - 2웨일스
1968년 2월 24일스코틀랜드1 - 1잉글랜드
1968년 2월 28일웨일스2 - 0북아일랜드


3. 8강전 (최종 플레이오프)

각 조 1위 8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승리한 4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3-43-20-2
2-32-00-3
3-11-02-1
2-61-11-5

3. 1. 이탈리아 vs 불가리아

이탈리아와 불가리아의 8강전 경기는 1968년 4월 6일과 4월 20일에 열렸다. 1차전은 소피아에서 열렸으며, 불가리아가 3-2로 승리하였다. 2차전은 나폴리에서 열렸으며, 이탈리아가 2-0으로 승리하였다. 합계 4-3으로 '''이탈리아가 본선에 진출'''했다.

경기날짜장소결과관중주심
1차전1968년 4월 6일소피아, 바실 레프스키3 – 270,000명게르하르트 슐렌부르크 (Deutschland|독일de)
2차전1968년 4월 20일나폴리, 산 파올로2 – 095,000명고트프리트 딘스트 (Schweiz|스위스de)


3. 2. 소련 vs 헝가리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ru(소련)과 Magyarország|헝가리hu의 경기는 1968년 5월 4일과 5월 11일에 진행되었다.

1차전은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네프슈타디온에서 열렸으며, 헝가리가 Farkas János|파르카시 야노시hu와 Göröcs János|게레치 야노시hu의 득점으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2차전은 소련 모스크바중앙 레닌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소련이 Sólymosi Ernő|쇼이모시 에르네hu의 자책골과 Хурцилава Муртаз Калистратович|무르타즈 쿨칠라바ru, Бышовец Анатолий Фёдорович|아나톨리 비쇼베츠ru의 득점으로 3-0 승리를 거두었다.

합계 점수 3-2로 '''소련'''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경기날짜장소결과관중
1차전1968년 5월 4일부다페스트 네프슈타디온헝가리 2 - 0 소련80,000명
2차전1968년 5월 11일모스크바 중앙 레닌 경기장소련 3 - 0 헝가리102,000명


3. 3. 잉글랜드 vs 스페인



''합계 3-1으로 잉글랜드가 본선 진출.''

3. 4. 유고슬라비아 vs 프랑스

1968년 4월 6일 마르세유벨로드롬에서 열린 1차전은 1-1 무승부로 끝났다. 유고슬라비아의 무세미치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프랑스의 디 나로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4월 24일 베오그라드JNA 스타디온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유고슬라비아가 5-1로 크게 이겼다. 페트코비치와 무세미치가 각각 2골씩, 자이치가 1골을 넣으며 유고슬라비아의 공격을 이끌었다. 프랑스는 디 나로가 1골을 만회하는 데 그쳤다.

결과적으로 유고슬라비아가 합계 6-2로 프랑스를 꺾고 본선에 진출했다.

4. 본선 진출팀

통과 자격통과 날짜이전 토너먼트 참가 횟수
8강 승자1968년 4월 20일0 (첫 출전)
8강 승자1968년 4월 24일1 (1960)
8강 승자1968년 5월 8일0 (첫 출전)
8강 승자1968년 5월 11일2 (1960, 196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